출처: 유튜브 Matt Rittman

AK-47의 구조와 원리

Technology Jul 9, 2025

Автомат Калашникова-47. 러시아어로 칼라시니코프 자동소총 47이라는 뜻이다. AK-47은 그 명성이 유명하여 헤즈볼라, 보코하람과 같은 단체의 깃발부터 동티모르, 짐바브웨 등의 공식 국기에도 등장한다. AK-47은 어쩌다가 이렇게 상징적인 총이 되었을까? 지금부터 총의 상징, 아니 무기의 상징 AK-47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한다.

AK-47의 등장

제 2차 세계대전 중 독소전쟁 당시 소련의 미하일 칼라시니코프 중사는 브랸스크 반격전에 참전하였다. 하지만 브랸스크 반격전에서 볼트액션식 재래식 무기인 모신나강을 보급받은 소련군은 신식 기관단총 MP40으로 무장한 독일군에게 밀릴 수 밖에 없었다. 이 과정에서 미하일 칼라시니코프 또한 어깨 쪽에 큰 부상을 입고 후퇴할 수 밖에 없었다. 부상 때문에 더 이상 참전할 수 없던 미하일 칼라시니코프는 자신의 조국에게 어떤 방법으로든 도움을 주고 싶다는 마음에 총기 개발에 매진하기로 하였다.

미하일 칼라시니코프는 MP40과 같은 연사가 가능한 총을 만들고 싶었다. 마침 소련 정부는 새롭게 개발한 소구경 총탄인 그 유명한 7.62 x 39mm탄을 사용하는 총기 공모전을 열었고 미하일 칼라시니코프는 이에 지원하여 자신이 만든 돌격소총을 제출하였다. 미하일 칼라시니코프는 아쉽게 탈락하였지만 희망을 본 소련 정부는 미하일 칼라시니코프를 적극 지원해주기 시작했다. 정부의 지원 속에서 미하일 칼라시니코프는 총기 개발에 몰두하였다. 그는 제 2차 세계대전 종전 후에도 총기 개발에만 매달렸고, 그 결과 1947년, AK-47이 완성되었다.

AK-47이 최고인 이유

AK-47이 다른 총기를 넘어서고 최고의 총이 될 수 있었던 이유는 당시 시대를 뛰어넘은 뛰어난 살상력과 강력한 내구성, 단순한 구조와 놀랍도록 값싼 원가 때문이다. 우선 AK-47은 원거리 저격 모드와 근거리 연사 모드가 전부 있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 조준사격, 연사를 모두 할 수 있다. 또한, 극한의 환경에서도 부품들이 걸리지 않고 잘 작동하도록 설계가 되었다. 게다가, 부품의 개수가 적어서 수리도 간편하였고, 단순한 모양으로 설계되어 공업 역량이 부족한 지역에서도 손쉽게 생산될 수 있었다.

이런 장점 덕분에 AK-47은 넘을 수 없는 최고의 총기가 되었고 현재까지 공식적으로 생산된 개수만 1억 정을 넘으며 불법 복제판까지 포함하면 대략 2억 정 정도가 된다.

총알의 구조

총알의 구조 (단면). 실제로 저렇게 뇌관과 화약이 노출된 것은 아니다. (필자 제작 blender로 만드는데 고생 좀 함)

AK-47의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기 전에 우선 AK-47이 사용하는 총탄인 7.62 x 39mm탄의 구조에 대해 알아보자.

총알은 대부분 탄두, 탄피, 화약, 뇌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장 앞 쪽에 탄두가 위치해있고 가장 뒤 쪽에 뇌관이 위치해있다. 그리고 탄두와 뇌관 사이에는 화약이 들어있다. 이 3가지를 덮고 있는 것이 탄피이다. 다만, 탄두는 뒤쪽 부분만 탄피에 덮여있고 나머지는 노출되어 있다. 그 중 7.62 x 39mm탄은 구경이 7.62mm이고 탄피의 길이가 39mm이다. 여기에 탄두까지 더해져 총 길이는 대략 56mm이다.

뇌관 속에는 매우 작은 폭발물이 있다. 이 폭발물은 압력이 가해지면 열이 발생하는 특성이 있다. 격침이 뇌관을 때리면 내부 폭발물이 격침과 뇌관의 앤빌 사이에 강하게 압축되며 열이 발생한다. 이 열이 화약에 전달되며 화약의 점화가 시작된다.

화약은 총알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화약이 점화되면 화약의 연소가 시작된다. 화약이 연소되면서 기체가 발생하여 강력한 압력이 만들어지면 그 압력이 탄두를 밀어내며 탄두가 발사되는 원리이다. 여기서 화약의 연소가 약하고 느리면 탄두가 약하게 밀리며 살상력이 떨어진다. 반대로 화약의 연소가 너무 강력하면 탄두가 발사되기 전에 총기 자체가 그 압력을 버티지 못하고 고장나거나 심하면 폭발할 수도 있다.

이런 이유로 주로 7.62 x 39mm탄에는 강력한 폭발력을 가진 NG(Nitroglycerin, C3H5N3O9)와 NG의 폭발을 안정화 및 지연 시켜주는 NC(Nitrocellulose, C6H7(NO2)3O5)가 혼합된다. 주로 소련제 탄약에는 68%의 NC와 30%의 NG, 그리고 2%의 기타 첨가제가 들어있었다. NG와 NC의 연소 반응은 다음과 같다.

\[ \ce{4C3H5N3O9(s) -> 12CO2(g) + 10H2O(g) + 6N2(g) + O2(g)}\]

\[ \ce{C6H7(NO2)3O5(s) + 6O2(g) -> 3H2O(g) + 3NO2(g)}\]

고체가 연소하며 많은 양의 기체가 발생하기에 순간적으로 폭발적인 압력이 생기며 탄두를 밀어낸다.

AK-47의 발사 구조

AK-47의 전반적 구조 (출처: 유튜브 Polenar Tactical, 필자 편집)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AK-47의 구조, 그 중에서도 작동 원리와 관련이 깊은 구조에 대해 알아보자. 우선 작동 구조는 크게 발사 구조, 재장전 구조, 단발-연발 교체 구조로 나눌 수 있다.

AK-47의 발사 구조 (출처: 유튜브 Matt Rittman, 필자 편집)

발사 구조에 관여하는 부품에는 방아쇠(trigger), 격발망치(hammer), 격침(firing pin), 그리고 총기의 내부 구조는 아니지만 총알이 있다.

방아쇠를 당기면 방아쇠에 걸려있는 격발망치가 풀리면서 그 탄성으로 격침을 타격한다. 격침은 총열에 장전되어 있는 총알의 뇌관을 타격한다. 총알의 구조에서 설명했듯, 격침이 뇌관을 타격하면 기체를 뒤로 뿜으며 발사된다.

AK-47의 재장전 구조

발사가 완료되면 자동으로 장전이 시작된다.

AK-47의 재장전 구조 (출처: 유튜브 Matt Rittman, 필자 편집)

재장전 구조에 관여하는 부품에는 가스 튜브(gas tube) 가스 피스톤(gas piston), 노리쇠 캐리어(bolt carrier), 노리쇠(bolt), 총열(barrel), 방아쇠 걸쇠(sear), 탄창(magazine), 그리고 발사 구조와 똑같이 총알이 있다.

재장전의 가장 중요한 원리는 바로 총알이 발사되며 뒤로 방출하는 기체에 있다. 총알이 발사될 때 발생한 고압의 기체가 총구 안에 생기는데 총구 옆에 있는 작은 공기 파이프인 가스 튜브에 기체의 일부가 유입된다. 고압의 기체는 가스 튜브 안에 있는 가스 피스톤을 뒤로 밀어낸다. 이때 가스 피스톤과 연결된 노리쇠 캐리어도 함께 뒤로 밀려난다. 노리쇠 캐리어가 뒤로 밀려났다가 뒤에 있는 용수철의 탄성으로 다시 앞으로 돌아올 때 노리쇠 캐리에에 붙어있는 노리쇠가 탄창에 있는 총알 하나를 총열로 가져온다. 노리쇠 캐리어는 뒤로 빠질 때 사용한 탄피를 외부로 배출 시키는 역할도 한다. 또한, 노리쇠 캐리어가 뒤로 가는 과정에서 격침망치 또한 원위치로 돌려놓는다. 노리쇠 캐리어가 제자리로 돌아오는 과정에서 격침망치가 다시 풀리며 또 발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노리쇠 캐리어가 돌아올 때까지 방아쇠 걸쇠가 격침망치를 고정시켜준다.

AK-47의 단발-연발 교체 구조

AK-47은 단발 모드, 연발 모드가 모두 존재한다. 당연히 AK-47에는 단발 모드와 연발 모드를 변경해주는 구조 또한 존재한다.

AK-47의 단발-연발 교체 구조 (출처: 유튜브 The Most, 필자 편집)

단발-연발 교체 구조에 관여하는 부품에는 선택 레버(selector)와 연동 차단기(disconnector)가 있다.

선택 레버의 각도에 따라 모드가 결정된다. 선택 레버를 밑으로 내려두면 단발 모드, 가운데로 두면 연발 모드가 된다. 맨 위로 두면 안전 모드가 활성화되어 방아쇠가 잠긴다.

단발 모드에서는 방아쇠 뒤쪽에 연결된 갈고리가 격침망치를 잡아줘서 방아쇠를 계속 당기고 있어도 다시 놓았다가 당기지 않는 이상 총알이 발사되지 않는다. 하지만 선택 레버를 올리면 연동 차단기가 작동되며 방아쇠 뒤쪽의 갈고리를 고정시켜준다. 이때 고정된 위치는 격침망치를 잡지 않는 위치이기 때문에 방아쇠를 계속 당기고 있으면 재장전이 완료되자마자 자동으로 발사가 진행된다.


AK-47은 가장 많이 팔린 무기로 현재 기네스북에 등재되어 있다. 하지만 현실은 AK-47이 폭력과 테러의 상징이 된 지 오래다. 가난한 자들의 핵무기라는 별명 답게 값싸게 살 수 있는데 그 살상력은 어마어마하여 테러 단체들이 많이 사용하는 것이다. 지구 상에서 더 이상 AK-47을 서로에게 겨누고 쏘는 일이 없기를 바라는 바이다.

Tags

Rieh Woojin

25 KSA. Drummer (amateur). Major in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Interested in history, music, etc. Currently in club Sturgeon (rock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