흠 무슨 사진을 넣어야 하나...

Sackur-Tetrode Equation

Physics Jun 21, 2025
⚠️
이 글에서는 갑자기 처음 보는 개념들이 당연하다는 듯 사용될 수 있다. (불친절하다...) 따라서 글의 내용을 더 정확하게 이해하고 싶은 사람들은 필자가 전에 쓴 글들을 모두 읽고 오기를 바란다. (사실 필자의 모든 글들은 이 글을 위한 빌드업 이었다...)

Introduction

우선... 제목에 써져 있는 이상한 등식에 대해서 더 알아보고 싶은 사람은 많이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하지만...저 등식은 한국과학영재학교의 물리학 및 실험1에서 나오는 몇몇 개념들과 연관 지을 수 있다...따라서 물리학 및 실험의 엔트로피 부분의 설명이 너무 간략하여 재미가 없었던 사람들은 이 글을 읽어보기를 바란다...(아무도 안 읽겠지...ㅜ)

먼저, 제목에 써져 있는 이상한 등식이 뭘 뜻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Sackur-Tetrode Equation
: 고전적인 이상 기체의 절대 엔트로피를 나타내는 식
\[S = Nk_B \left[ \ln \left( \frac{V}{N} \left( \frac{4 \pi m U}{3 N h^2} \right)^{3/2} \right) + \frac{5}{2} \right]\]
여기서, \(S\) 는 엔트로피, \(N\) 은 입자의 수, \(k_B\) 는 볼츠만 상수, \(V\) 는 기체의 전체 부피, \(m\) 은 입자의 질량, \(U\) 는 내부의 총 에너지, \(h\) 는 플랑크 상수이다.

이제 이 밑의 글은 Sackur-Tetrode Equation 을 유도하는 내용이 될 것이다.(읽기 싫으면 그냥 이런게 있다 정도로만 이해하자...)


Proof

먼저 물리학 및 실험1을 수강 했거나 물리에 조금만 관심이 있다면,

\[S=k_B\ln\Omega\]

라는 식은 익숙할 것이다. 이때, \(\Omega\) 는 상태수를 뜻한다. 여기서 \(k_B\) 는 상수이기 때문에 여기서부터는 \(\Omega\) 를 구하는데 집중할 것이다.

고전적인 이상 기체는 3 차원에서 입자의 개수가 \(N\) 개 있을 때, 각각의 입자가 위치 \(\vec q_i\) 와 운동량 \(\vec p_i\) 를 가지기 때문에 \(6N\) 차원의 위상 공간에 나타낼 수 있다. (만약을 위한 참고 : 각 입자는 3개의 위치 좌표와 3개의 운동량 좌표를 가진다) 따라서 미분 부피 요소는,

\[\mathrm{d}\Gamma = \prod_{i=1}^{N} \mathrm{d}^3q_i\mathrm{d}^3p_i\]

양자역학적 관점에서, 각 미시 상태는 플랑크 상수 \(h\) 로 이산화된 위상 공간 셀에 대응되기 때문에 상태수를 구할때는 \(h^{3N}\) 으로 나누어 준다. 또한 각 입자는 구분이 되지 않으므로 \(N!\) 으로 나누어 준다. 따라서 미시 상태수 \(\Omega\) 는,

\[\Omega = \frac{1}{N! h^{3N}} \int_{\Gamma} \prod_{i=1}^{N} \mathrm{d}^3 q_i \mathrm{d}^3 p_i\]

이상 기체이므로 입자 간 상호작용이 없다. 따라서 위 식의 위치와 운동량 부분은 전혀 연관성이 없으므로 아래의 식처럼 위치 부분과 운동량 부분으로 나누어 나타낼 수 있다.

\[\Omega = \frac{1}{N! h^{3N}} \left( \int \prod_{i=1}^{N} \mathrm{d}^3 q_i \right) \left( \int \prod_{i=1}^{N} \mathrm{d}^3 p_i \right)\]

이제 위치 부분과 운동량 부분을 각각 구할 것이다.


1-위치

하나의 입자에 대해서 입자는 부피 \(V\) 인 공간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int \mathrm{d}^3 q_i = V\]

따라서 \(N\) 개의 입자에 대해서,

\[\int\prod_{i=1}^N \mathrm{d}^3 q_i = V^N\]

2-운동량

운동량 적분은 내부 에너지 제약 조건에 의해 제한된다. 단원자 이상 기체임을 가정하면, 총 내부 에너지는 운동에너지의 합으로 표현된다.

\[\sum_{i=1}^N\frac{{p_i^2}}{2m} = U\]

이때, \({p_i}^2 = {p_{i,x}}^2 + {p_{i,y}}^2 + {p_{i,z}}^2\) 이다. 운동량의 제곱이 나타나도록 식을 정리하면,

\[\sum_{i=1}^N {p_i}^2 = 2mU\]

여기서 반지름 \(R = \sqrt{2mU}\) 인 \(3N\) 차원 초구면(hypersphere)을 정의하여 근사를 통해 식을 풀어나갈 수 있다. Microcanonical Ensemble 의 경우 에너지가 정확히 \(U\) 인 상태를 고려하지만, 실제로 에너지 껍질의 \(U\) 와 \(U + \delta U\) 사이의 부피를 계산한다. 글로 써진 다음의 내용을 디랙 델타 함수를 사용하여 수식으로 표현하면,

\[\int \delta \left( \sum_{i=1}^{N} \frac{p_i^2}{2m} - U \right) \prod_{i=1}^{N} \mathrm{d}^3 p_i\]

위 수식으로 나타내어진 에너지 껍질의 미소 부피(\(R\) 에서 \(R+\mathrm{d}R\) 까지의 부피)는 반지름이 \(R\) 인 \(3N\) 차원 구의 표면적에 \(\mathrm{d}R\) 을 곱하여 얻을 수 있다. 이때 \(R = \sqrt{2mU}\) 이므로 \(\mathrm{d}R = \frac{m\mathrm{d}U}{\sqrt{2mU}}\). 따라서,

\[S_{3N}(R) \cdot \mathrm{d}R = \frac{2 \pi^{3N/2} (2mU)^{(3N - 1)/2}}{\Gamma(3N/2)} \cdot \frac{m \mathrm{d}U}{\sqrt{2mU}}\]

식을 정리하면 최종적으로,

\[\int \delta \left( \sum_{i=1}^{N} \frac{p_i^2}{2m} - U \right) \prod_{i=1}^{N} \mathrm{d}^3 p_i = S_{3N}(R) \cdot \mathrm{d}R = \frac{2^{3N/2} \pi^{3N/2} m^{3N/2} U^{(3N - 2)/2} \mathrm{d}U}{\Gamma(3N/2)}\]


이제 위치 적분과 운동량 적분을 결합하면,

\[\Omega = \frac{1}{N! h^{3N}} V^N \cdot \frac{2^{3N/2} \pi^{3N/2} m^{3N/2} U^{(3N - 2)/2} \mathrm{d}U}{\Gamma(3N/2)}\]

위의 식은 상태수를 이상 기체의 여러 상수들(\(N\), \(V\), \(m\), \(U\))로 나타낸 것이다. 이제 위의 식으로 나타내어진 상태수 \(\Omega\) 를 가장 기초가 되는 식 \(S = k_B\ln\Omega\) 에 대입하여 이상 기체의 엔트로피를 구해보자. 로그를 취하게 되면,

\[\ln \Omega = -\ln N! - 3N \ln h + N \ln V + \frac{3N}{2} \ln 2 + \frac{3N}{2} \ln \pi \\ + \frac{3N}{2} \ln m + \frac{(3N - 2)}{2} \ln U - \ln \Gamma\left(\frac{3N}{2}\right)\]

위의 식에서 \(\mathrm{d}U\) 는 무시해도 되는 항이므로 생략되었다. 이제 위의 식에서 Stirling's Approximation 을 적용하면,

Stirling's Approximation
\(\ln N! \approx N \ln N - N\)
\(\ln \Gamma\left(\frac{3N}{2}\right) \approx \frac{3N}{2} \ln \left(\frac{3N}{2}\right) - \frac{3N}{2}\)

\[\ln \Omega \approx -N \ln N + N - 3N \ln h + N \ln V + \frac{3N}{2} \ln 2 + \frac{3N}{2} \ln \pi \\ + \frac{3N}{2} \ln m + \frac{(3N - 2)}{2} \ln U - \frac{3N}{2} \ln \left(\frac{3N}{2}\right) + \frac{3N}{2}\]

이제 위 식을 Sackur-Tetrode Equation 의 형태로 바꾸면,

\[\ln \Omega \approx N \ln \left(\frac{V}{N}\right) + \frac{3N}{2} \ln \left(\frac{4\pi m U}{3N h^2}\right) + \frac{5N}{2}\]

식을 정리하여 위의 식의 형태로 만드는 도중 나오는 \(-\ln U\) 는 \(N\rightarrow\infty\) 일 때 무시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

최종적으로, 이상기체의 엔트로피 \(S\) 는,

\[\therefore S = Nk_B \left[ \ln \left( \frac{V}{N} \left( \frac{4 \pi m U}{3 N h^2} \right)^{3/2} \right) + \frac{5}{2} \right]\]

Conclusion

오랜만에 꽤 긴 글을 쓴 것 같다. 이전의 글들이 모두 단편적이고 간단한 개념과 증명만을 다루는 글이었다면, 이번 글은 글을 읽기 위해 알고 있어야 하는 지식도 많아야 하고 수식을 다루는데 있어서 익숙해야만 완전히 이해할 수 있는 글이었다. 따라서 이 글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 더 쉽게 설명하는 글들을 인터넷에서 찾아보거나 이 글에서 사용된 개념들을 대략적으로 숙지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솔직히 말해서 Sackur-Tetrode Equation의 증명을 알고 있을 필요는 없다. 하지만 이 식을 증명하는데 사용되는 여러 아이디어들이 재미있고 물리에서 꽤 많이 쓰이는 스킬들이므로 잘 알고 있다면 언젠가는 유용하게 쓰일 것이다. 이 재미없는 글을 끝까지 읽어준 사람들에게 매우 감사하다는 말을 전하면서 이 글을 마무리하겠다.

Sackur–Tetrode equation - Wikipedia
Surface Area of n-sphere
Introduction 이 글에서는 n 차원 초구(hypersphere)의 겉부피를 구해볼 것이다. 나중에 열 및 통계 역학에서 나오는 식을 유도할 때 사용되기 때문에 잘 알아두도록 하자. 일단 n 차원 구의 겉부피는 다음과 같다. 💡 \[S_{n-1} = \frac{2\pi^{\frac{n}{2}}}{\Gamma\left(\frac{n}{2}\right)} R^{n-1} \] 이때, \(S_
Ensemble
이 글에서는 Ensemble 이라는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자. 필자도 완벽한 이해를 바탕으로 작성하는 글이 아니고, 개념을 소개하는 것에 의의를 두고 있기 때문에 이 주제에 큰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알아서 논문을 더 찾아보기를 바란다. 제목이 굉장히 재미없어 보이지만 나름 재미있는 주제이다. 다들 끝까지 읽도록 하자^^ Introduction Ensemble 은 열 및 통계 물리학을
Stirling’s Approximation - Merged
💡이 글은 Park Jonghwi 의 글 [Stirling’s Approximation] 와 Lee JunSeok 의 글 [스털링 근사 : 노베이스 증명] 의 내용을 합친 글이다. 원본 글들은 아쉽게도 삭제되었으나 아래에는 그 내용이 전부 포함되어 있다. Introduction 위에서 언급된 두 글에서는 각각 다른 방법으로 스털링 근사를 유도했다. 하나의 글에서는 팩토리얼을 감마 함수로 표현하고 감마 분포의

Tags

Park Jonghwi

25 KSA. Physics major. Loves planes, music, cars, etc. Hi my name is paper!